위험관리 방안
구분 | 예상 위험요소 | 대응방안 |
인력변동 측면 | • 투입인력 결원 발생 • 인력 교체 | • 사업 착수시점에 신뢰성 있는 우수 인력 투입 • 퇴직 등의 결원 발생시 상응하는 우수 인력을 주관기관의 승인 하에 선발하여 충원 |
산출물 품질 측면 | • 요구사항 파악 및 반영의 미비 • 납기의 지연 | • 정기적으로 주관기관의 요구 목표를 확인하여 관리 • 사업 수행범위 및 산출물을 명확히 정의 |
사업수행조직 측면 | • 팀원들의 근태관리 • 진척관리 및 팀원의 일정관리 미흡 | • 근태관리를 실시하고, 정도가 심한 경우 패널티 기준을 수립하여 엄격하게 관리 • 지연 발생시, 지연 정도 별로 수립된 대응 시나리오를 따라 수행 • 표준 절차에 따른 진척관리 및 팀원의 일정관리 추진 |
의사소통 | • 팀원간의 의사소통 결여 • 다수의 이해당사자로 인하여 혼잡한 의사소통 채널로 인해 불분명하거나 본 의미와 다른 의미로 전달될 가능성 존재 | • 정기/수시 미팅으로 팀원간 원활한 의사소통 채널 확보 • 의사소통 담당자를 임명하여 H/W, 상용S/W 등의 업체관계자들과의 의사소통 채널을 하나로 단일화하고, 의사소통 내역을 관리 |
기타 | • 업무범위의 확장 또는 잦은 변경의 위험성 • 고객 측 대응지연 | • 사업 일정에 문제 발생시, 주관기관과 요청 협의 • 고객 요청사항의 빠른 대응을 위한 대응절차 수립 • 위험관리보고서를 통해 상황과 대안 및 파급효과를 보고 |